리처드 로티는 20세기 후반 미국 철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전통 철학의 진리 개념과 인식론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한 사상가였다. 그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의 현대적 계승자로서, 진리를 세계와 정확히 ‘거울처럼’ 반영하는 개념으로 보는 시도를 거부했다. 대신 그는 진리를 사회적 합의와 실용적 효과의 산물로 보았다. 그의 사상에 따르면 어떤 명제가 참이라는 것은 그것이 현실과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공동체의 문제 해결에 유용하기 때문이다. 로티는 이러한 관점에서 철학을 ‘기초 찾기’의 학문이 아니라, 다양한 담론과 대화를 통해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실천적 활동으로 재정의했다. 그는 절대적 기준을 찾으려는 철학적 전통 대신, 다양한 관점과 언어 게임 속에서 인간이 만들어 가는 유동적 합의에 주목했다.
진리는 절대적 실체가 아니다
로티는 플라톤에서 데카르트, 칸트에 이르는 서양 철학의 주류 전통이 진리를 영원하고 변치 않는 실체로 상정했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러한 ‘기초주의(foundationalism)’가 철학을 불필요하게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영역으로 가둬 왔다고 비판한다. 로티에게 진리는 인간이 만든 언어와 개념, 담론 속에서 형성되는 상대적 산물이다. 즉, 진리는 어떤 고정된 대상이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그렇게 믿는 것이 유용하다’는 판단의 결과다. 이러한 입장은 진리를 완전히 주관적 취향으로 환원하는 상대주의와는 다르다. 로티는 진리가 여전히 공적 합의와 경험적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보았다. 다만 그는 그 합의가 절대적 토대 위에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 공동체의 대화와 실천 속에서 끊임없이 수정되고 재구성된다고 강조했다.
철학의 역할은 대화의 촉진이다
로티는 철학의 목표를 ‘진리의 기초’를 찾는 데 두는 대신, 다양한 담론 간의 소통과 협력을 촉진하는 데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철학자를 ‘문화적 중개자’로 묘사했다. 철학자는 과학, 예술, 정치, 종교 등 서로 다른 영역의 언어 게임이 만나고 충돌하는 지점에서 의미 있는 대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 이는 철학이 모든 분야 위에 군림하는 학문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담론이 교차하는 장에서 유연하게 작동하는 실천이라는 의미다. 로티에게 철학은 하나의 ‘대화의 기술’이며, 그 목적은 절대적 해답이 아니라 더 나은 질문과 가능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학문 간 경계를 허물고, 철학을 폐쇄된 체계가 아니라 열린 사회적 활동으로 재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실용주의적 진리와 민주주의
로티의 실용주의는 정치철학, 특히 민주주의 이론과 깊이 연결된다. 그는 민주주의를 단순히 제도적 장치로 보지 않고, 끊임없는 대화와 합의를 통해 변화하는 공동체의 삶의 방식으로 이해했다.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민주주의의 가치는 절대적 원리나 초월적 진리에 기반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다양한 의견과 관점이 충돌하면서도 폭력 없이 조정되는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구조다. 로티는 이러한 민주주의를 ‘자유주의적 유토피아’라고 불렀으며, 이곳에서는 사람들이 진리를 소유하려 하기보다 서로의 관점을 존중하며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 나선다. 그의 철학은 진리를 둘러싼 권위주의적 태도를 비판하고, 열린 대화와 협력을 통해 사회를 개선하는 데 집중하는 실천적 지성을 옹호한다. 결국 로티의 사상은 진리를 유용성과 연결함으로써, 철학을 추상적 사변이 아닌 현실 속 변화를 만드는 도구로 재위치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