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로티는 20세기 후반 미국 철학계를 대표하는 철학자로, 전통적인 분석철학과 형이상학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실용주의적 전통을 계승하고 새롭게 재구성한 사상가이다. 그는 『철학과 자연의 거울』에서 서양 철학이 플라톤 이래로 진리를 실재의 ‘거울’처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해 왔다는 점을 비판하며, 그러한 인식론적 철학의 패러다임은 이제 끝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로티에게 철학은 더 이상 ‘진리’나 ‘지식’의 보편적 토대를 세우려는 시도가 아니라, 인간 공동체 안에서의 언어적 실천이며, 그 목표는 객관적 지식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한 연대와 해방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그는 진리를 실재의 반영이 아닌 언어 공동체 내부에서 생겨나는 ‘합의된 견해’로 보고, 철학은 진리에 대한 고정된 정의를 추구하기보다는 다양한 견해들이 상호작용하는 ‘회화적 철학(conversational philosophy)’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거울에서 도구로 - 철학의 전환
로티는 철학이 더 이상 세상의 본질을 비추는 ‘자연의 거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서양 형이상학이 지식의 토대를 외부 실재에 두고, 언어는 그것을 정확히 반영해야 한다는 사유 구조를 비판하면서, 이러한 패러다임이 인식론의 권위주의와 소외를 초래했다고 본다. 이에 그는 철학을 ‘도구주의적’으로 재해석한다. 즉, 철학은 진리를 드러내는 ‘거울’이 아니라,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도구’로서 기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진리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사람들이 특정한 맥락과 공동체 속에서 ‘쓸모 있게 여기는 말들’이라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철학자는 더 이상 궁극의 진리를 탐구하는 구도자가 아니라, 사회적 담론 속에서 다양한 견해들이 공존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실천적 조정자에 가깝다. 로티의 이러한 철학관은 철학의 권위를 해체하면서도, 새로운 역할을 제시한 점에서 철학의 진보적 전환을 의미한다.
진리는 합의다 - 실용주의적 진리관
로티의 진리관은 전통적인 대응이론(correspondence theory)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이다. 그는 진리를 실재와의 정확한 일치로 보는 관점을 거부하고, 진리를 하나의 ‘언어적 행위’ 혹은 ‘담론적 실천’으로 이해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합의(consensus)’다. 진리는 어떤 절대적 기준이나 본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그렇다고 믿기로 한’ 합의에서 형성된다. 이는 윌리엄 제임스나 존 듀이 같은 실용주의 철학자들의 전통을 잇는 개념으로, 진리는 시간과 맥락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그 효용성에 따라 재구성될 수 있다. 로티는 이를 통해 진리를 절대화하거나 절대적 기준에 기대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진리를 인간 중심적이고 관계적인 개념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시도는 진리에 대한 회의가 아니라, 진리를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것으로 이해하자는 제안이다.
철학은 대화다 - 해방적 공동체를 위한 사유
로티는 철학의 목적이 더 이상 ‘진리의 발견’이 아니라, ‘해방적 공동체’의 구성에 있다고 본다. 그는 철학이 언어, 역사,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활동이며, 다양한 전통과 관점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인간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런 맥락에서 로티는 ‘연대(solidarity)’의 철학을 제안하며, 서로 다른 정체성과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대화를 통해 공통의 지반을 찾고, 상호이해를 높이는 것을 철학의 핵심 과제로 본다. 그는 ‘자기 창조(self-creation)’와 ‘해방(emancipation)’을 철학의 새로운 이상으로 제시하며, 철학자가 해야 할 일은 기존의 보편주의적 이론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언어, 새로운 서사, 새로운 공동체를 상상하고 만들어가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이처럼 로티의 철학은 ‘진리’라는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 대신, ‘대화’라는 가벼우면서도 창조적인 실천으로 철학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