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일합방 조약 체결의 경과와 국제사회의 반응

by simplelifehub 2025. 9. 27.

대한제국의 외교권 상실과 식민지 편입을 향한 일본의 단계적 압박

한일합방 조약은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서 체결된 조약으로, 이를 통해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로 공식 편입되었다. 그러나 이 조약이 체결되기까지의 경과를 살펴보면 단순한 조약 체결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일본은 이미 러일전쟁 승리 이후 대한제국 내 영향력을 급격히 강화하고 있었으며, 1905년 을사늑약을 통해 외교권을 박탈하면서 사실상 조선을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이후 1907년에는 고종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군대를 해산시키는 등 실질적인 국가 주권을 차례로 해체해나갔다. 결국 1910년, 조선총독부의 설치와 함께 한일합방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이는 국제법적 절차나 조선 민중의 의사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일방적 조치였다. 조약 서명은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와 총리대신 이완용 사이에서 이뤄졌으며, 조선 황제의 자발적 승인이나 국민적 동의는 없었다는 점에서 합법성은 매우 논란의 여지가 크다.

일본의 정당화 논리와 조선 내 저항의 확산

당시 일본은 한일합방을 문명화의 일환으로 포장하였다. 일본 내에서는 조선이 근대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일본이 이를 이끌어야 한다는 식민주의적 논리가 지배적이었으며, 이러한 논리는 제국주의 시대의 보편적 사고와 맞물려 국제 사회의 침묵을 유도하는 데 활용되었다. 그러나 조선 내부에서는 지식인과 종교계, 민중을 중심으로 한 격렬한 저항이 이어졌다. 을사의병, 정미의병 등 무장 항쟁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애국계몽운동을 통한 민족의식 고취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또한 합방 직후인 1910년대 초반부터는 비밀결사조직들이 결성되어 해외 독립운동과의 연계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처럼 한일합방은 결코 조용히 수용된 사건이 아니었으며, 조선 사회 전반에 걸친 반발과 저항, 그리고 자주 독립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분출되는 계기였다. 일본의 강압적 식민지화 과정은 조선 민중에게 커다란 상처와 함께 강한 민족 정체성을 남기게 된다.

국제사회의 침묵과 외교적 고립 속에서 진행된 식민지화

한일합방 조약 체결은 당시 국제사회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지만, 실질적인 외교적 저지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는 일본이 미국, 영국 등 서구 열강들과 맺은 다양한 비공식적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1905년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미국이 일본의 조선 지배를 묵인하고, 그 대가로 일본은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인정하는 상호 이권 보장의 성격을 띠었다. 영국 역시 일본과 동맹 관계에 있었으며, 자국의 제국주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일본의 조선 병합을 사실상 묵인하였다. 국제사회는 이처럼 제국주의적 이해관계에 따라 조선의 주권 침해를 사실상 방조하였고, 대한제국은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태에서 식민지화의 수순을 밟게 되었다. 이 같은 국제적 무관심은 오늘날에도 식민 지배의 불법성과 정당성 논쟁에서 주요한 비판 지점으로 지적되며, 역사는 단지 국내 정치만이 아니라 국제 권력 구조 속에서 움직인다는 교훈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