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 철학을 대표하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전통 형이상학의 본질주의와 동일성 중심 사고를 근본적으로 전복하고자 하였다. 그는 『차이와 반복』에서 철학은 더 이상 고정된 개념이나 본질을 파악하는 작업이 아니라, 생성과 운동, 차이를 사유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전통 형이상학은 존재를 항상 동일한 것, 변하지 않는 본질로 규정해왔으며, 변화는 부차적이고 비본질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들뢰즈는 변화, 반복, 차이야말로 존재의 핵심이며, 존재란 결코 동일성 속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생성되고 흘러가는 흐름 그 자체라고 본다. 그의 사유는 정체성과 재현 중심의 철학을 넘어, 다름과 생성, 운동과 탈중심화를 통해 새로운 존재론을 제시하며, 예술, 정치, 윤리, 생명과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차이는 본질보다 먼저 온다
들뢰즈는 철학이 동일성과 범주의 논리에 갇혀 있다는 점을 비판하며, 차이를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 전통 철학은 개별 사물들의 차이를 하나의 일반적 개념이나 본질로 환원시켜 왔으며, 이를 통해 질서와 체계를 구성해왔다. 하지만 들뢰즈는 이런 방식이 오히려 존재의 풍부함과 역동성을 억압한다고 본다. 그에게 있어 차이는 단지 사소한 변별이 아니라, 존재 자체가 움직이고 창조되는 방식이다. 그는 ‘차이란 반복되는 것 안에서 드러나는 독특성’이라 말하며, 차이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고 흩어지는 운동의 장이다. 이런 맥락에서 차이는 본질보다 먼저 오며, 모든 존재는 고정된 정체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차이 속에서 스스로를 계속해서 만들어간다. 들뢰즈에게 철학은 바로 이 차이를 사유하고, 반복되는 것 속에서 드러나는 창조적 차이를 포착하는 작업이다.
반복은 단순 복제가 아니라 생성이다
들뢰즈는 반복이라는 개념에 주목하며, 이를 단순한 동일성의 반복으로 보지 않는다. 그는 반복이 단지 같은 것이 되풀이되는 것이 아니라, 반복 속에서 새로운 것이 생성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곧 ‘창조적 반복’으로, 매 반복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며, 새로운 차이를 낳는다. 들뢰즈에게 반복은 세계가 고정된 본질 없이도 스스로를 생성하는 방식이며, 존재는 항상 차이를 낳는 반복 속에서만 드러난다. 그는 이를 통해 시간과 운동, 생성의 개념을 철학의 중심으로 끌어올리고, 정체성과 재현을 중심으로 한 전통 형이상학의 기반을 흔든다. 반복은 삶의 리듬이자 예술의 원리이며, 존재의 생성적 구조이다. 들뢰즈는 니체의 영원회귀 개념을 재해석하여, 동일한 것의 반복이 아니라 차이를 낳는 영원한 생성으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삶 그 자체가 반복과 차이 속에서 창조된다고 보았다.
존재는 흐름이며 운동이다
들뢰즈의 철학은 존재를 정적인 실체가 아니라 흐름과 운동으로 이해한다. 그는 존재가 정지해 있거나 중심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 않으며, 오히려 탈중심화되고 다중화된 흐름 속에서 구성된다고 본다. 이는 들뢰즈가 후기 저작들에서 전개한 ‘되기(becoming)’의 개념과도 연결되며, 존재란 무엇이 되는 과정이지, 무엇인 상태로 고정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들뢰즈는 존재를 “기계적 조립물”로 파악하기도 하며, 서로 다른 요소들이 만남과 관계를 통해 임시적으로 구성된 것이라 보았다. 이처럼 존재는 언제나 우발적이고, 관계적이며, 유동적인 구조로 나타난다. 그는 전통 철학이 구성해온 안정된 존재 개념을 거부하고, 실재는 언제나 생성과 운동, 차이와 반복 속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들뢰즈의 존재론은 생명, 사회, 예술,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고정된 본질이나 정체성을 넘어 다양성과 차이의 윤리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철학적 토대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