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무엇이고, 죽음이란 무엇인가. 이 단순하면서도 심오한 질문은 철학의 핵심을 이룬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매 순간 죽음을 향해 다가가며, 그 과정에서 자신이라는 존재를 자각하게 된다.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이러한 존재의 본질을 ‘시간성’과 ‘죽음을 향한 존재’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그는 철학이 본질적으로 존재 그 자체를 묻는 물음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인간 존재의 핵심은 'Dasein'으로 불리는 실존적 구조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 글에서는 하이데거의 실존 철학을 중심으로, 삶과 죽음이라는 궁극적 문제를 어떻게 사유했는지 살펴본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와 시간의 연결
하이데거는 그의 대표작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의 의미를 해명하기 위해 시간의 구조를 중심에 두었다. 그에 따르면, 인간 존재는 단순히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문제 삼는 존재’다. 그는 이러한 존재를 ‘현존재(Dasein)’라고 명명하며, 이 현존재는 항상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향해 자신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은 과거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지만, 동시에 미래를 지향하는 존재로서 현재를 살아간다. 이처럼 시간은 단순한 물리적 흐름이 아니라, 존재 자체를 구성하는 구조적 요소가 된다. 하이데거에게 있어 시간을 떠난 존재란 생각할 수 없으며, 우리는 시간 속에서만 스스로를 이해하고 존재의 의미를 묻는다. 존재를 시간의 차원에서 파악함으로써 그는 형이상학의 전통적 한계를 넘어 새로운 실존적 철학의 장을 열었다.
죽음을 향해 존재한다는 것의 철학적 의미
하이데거는 죽음을 단지 생물학적 종결이 아니라, 인간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해한다. 그는 ‘죽음을 향한 존재(sein-zum-Tode)’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자각함으로써 비로소 진정한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 속에서 자신의 죽음을 회피하며 살아가지만, 하이데거는 이러한 회피가 오히려 비진정한 삶을 지속하게 만든다고 지적한다. 반면, 죽음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향해 사유하는 태도는 인간을 비로소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게 한다. 이는 단순한 절망이 아니라, 죽음을 계기로 현재의 삶을 더욱 본질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의 계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죽음은 존재의 종말이 아니라, 존재의 의미를 가장 뚜렷하게 드러내는 계시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실존적으로 살아가는 길을 찾을 수 있다.
현대적 맥락에서 본 하이데거 철학의 의의
하이데거의 철학은 현대 사회의 불안정한 삶의 조건 속에서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온다.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간의 존재는 점점 더 데이터와 정보로 환원되는 듯한 시대에, ‘존재’라는 본질적 질문을 다시 묻는 일은 무척 중요하다. 하이데거는 우리가 기술적 세계에 함몰될수록, 존재에 대한 망각도 깊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의 ‘망각된 존재’라는 개념은 오늘날 자기 성찰 없이 소비되고 소외되는 인간 삶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동시에 그는 죽음을 삶의 일부로 정직하게 받아들임으로써, 우리 존재의 고유성과 실존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오늘날 심리적 공허나 삶의 방향 상실을 겪는 이들에게 깊은 철학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하이데거는 단지 고독한 사유의 철학자가 아니라, 실존의 위기에 처한 현대인에게 존재의 근원을 되돌아보라고 요청하는 스승과도 같은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