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는 20세기 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그의 철학은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데 집중되어 있다. 그는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서양 철학 전통에서 오랫동안 망각되어 왔다고 주장하며, 이를 다시 근본적으로 사유하고자 했다. 하이데거는 존재에 대한 이 물음을 새롭게 열기 위해, 인간 존재를 ‘현존재(Dasein)’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이 현존재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의 저서 『존재와 시간』은 이러한 존재 물음을 정면으로 다룬 대표작으로, 인간이 어떻게 세계에 ‘던져져 있음’을 자각하고, 그로부터 자신의 삶을 형성해가는지를 치열하게 사유한다. 이 글에서는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 개념인 현존재를 중심으로, 우리가 일상 속에서 망각하고 있는 존재의 의미를 다시 묻고자 한다.
‘현존재’는 단순한 인간이 아니다
하이데거는 인간이라는 존재를 단순히 생물학적 개체로 보지 않았다. 그는 인간을 ‘존재를 이해하는 존재’로 규정하고, 이러한 존재방식을 ‘현존재(Dasein)’라고 불렀다. 여기서 ‘현존재’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며, 그 의미를 묻고 탐색하는 존재를 뜻한다. 하이데거는 기존 철학이 인간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머물렀다고 비판하면서, 인간이 본래부터 세계 안에 던져져 있고, 그 안에서 의미를 구성해가는 존재임을 강조한다. 즉, 현존재는 세계와 분리된 주체가 아니라, 세계와 얽혀 있으며, 세계 속에서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해 나가는 존재다. 이러한 시각은 인간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며, 우리가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살아갈지를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만든다.
죽음의 자각은 진정한 삶의 가능성을 연다
하이데거 철학의 또 다른 핵심은 ‘죽음’에 대한 사유다. 그는 인간이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이며, 죽음의 자각이야말로 진정한 자기 존재를 자각하게 하는 계기라고 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죽음을 막연히 먼 일로 여기며 회피하려 하지만, 하이데거는 우리가 ‘나의 죽음’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때 비로소 삶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이를 ‘죽음을 향한 선취’라고 표현하며, 이러한 태도를 통해 인간은 일상적인 익명성과 피상성을 넘어서 고유한 자기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본다. 죽음을 인식함으로써 인간은 더 이상 외부의 기대나 관습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실존적인 가능성을 선택하고 실현할 수 있다. 이는 곧 철학이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존적인 각성과 결단의 계기임을 보여준다.
철학은 존재를 잊지 않게 해주는 길잡이다
하이데거는 서양 철학이 오랫동안 ‘존재’를 망각하고 ‘존재자’만을 탐구해 왔다고 지적한다. 그는 플라톤 이후 철학이 존재를 본질에서부터 잊고, 단지 사물의 속성과 관계에만 집중해왔다고 본다. 하이데거의 철학은 이러한 존재 망각을 넘어서, ‘존재 자체’를 다시 묻는 데서 출발한다. 그는 철학이란 존재에 대한 물음을 되살리는 활동이며, 인간이 단순히 사물 속에 파묻혀 사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신비와 깊이를 자각하며 사는 방식을 열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이를 통해 그는 기술 중심의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점차 자기 존재를 상실하고 기계화되어가는 현실을 비판하며, 철학이 다시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함을 역설한다. 하이데거에게 있어 철학은 단지 학문이 아니라, 존재를 사유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태도이자 실천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