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질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과 반복의 미학

by simplelifehub 2025. 7. 30.

질 들뢰즈는 20세기 프랑스 철학의 탈구조주의 흐름 속에서 가장 독창적인 사유를 전개한 철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철학이 동일성, 본질, 중심, 재현을 중심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구성해온 전통적 형이상학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였다.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에서 동일성에 의해 규정되는 존재론을 넘어서, 차이 자체가 존재의 출발점이라는 급진적인 존재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차이를 단순히 동일한 것들의 변형이나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하지 않고, 자기 안에 내재한 운동성과 생성성으로 보았다. 반복 또한 단순한 복제나 반복적인 순환이 아니라, 언제나 새롭게 구성되는 창조적 사건으로 해석하였다. 이처럼 들뢰즈의 철학은 정태적 실체 중심에서 운동과 생성, 다양성과 흐름 중심의 철학으로의 전환을 이끈다. 그는 철학을 개념의 창조라고 정의하며, 철학을 사유의 기계로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이어갔다.

차이는 동일성의 그림자가 아니라 존재의 본질이다

전통 형이상학에서는 차이는 언제나 동일한 것에 종속된 개념이었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에서는 개별적인 것들은 보편적인 종과 속에 의해 정의되며, ‘차이’는 그 속에서 파생적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들뢰즈는 이러한 관점을 전복시킨다. 그는 차이를 단순한 비교나 구분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의 존재, 생성의 운동으로 이해한다. 들뢰즈에게 차이는 반복되는 항들 사이의 ‘차이’가 아니라, 반복 그 자체를 산출하는 힘이다. 이러한 차이 개념은 동일성의 논리, 동일자의 사유, 재현의 구조를 넘어서는 것을 지향한다. 들뢰즈는 차이를 통해 개체화가 발생하며, 세계는 정체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이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따라서 존재는 어떤 본질의 실현이 아니라, 차이들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사건이다. 이처럼 차이를 존재론의 중심에 둠으로써, 들뢰즈는 기존의 위계적이고 고정적인 세계관을 해체하고, 유동적이고 복수적인 사유를 정당화한다.

반복은 단순한 복제가 아닌 창조적 생성의 리듬이다

들뢰즈는 반복을 기계적인 재현으로 보지 않는다. 그는 칸트와 니체의 영향을 받아 반복을 차이와 함께 사유함으로써, 반복이 창조적인 과정임을 강조한다. 반복은 동일한 것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반복될 때마다 차이를 생성하며 새로운 의미를 낳는 과정이다. 이때 반복은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현재를 새롭게 구성하는 창조의 리듬이 된다. 예술, 철학, 정치, 일상생활 속 반복은 기계적 순환이 아니라, 언제나 다르게 반복되는 실험적 사건들이다. 들뢰즈는 이를 ‘차이를 생산하는 반복’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반복 개념은 존재의 구조뿐 아니라 시간, 기억, 욕망의 구조를 다시 정의하게 만든다. 시간은 직선적 연속이 아니라, 파열과 반복을 통해 구성되며, 기억은 고정된 재현이 아니라, 반복을 통해 갱신되는 내면의 운동으로 드러난다. 들뢰즈의 반복은 삶 자체의 흐름이며, 생성과 창조의 본성이기도 하다.

개념의 창조로서 철학은 예술과 과학과 나란히 선다

들뢰즈는 철학을 단순히 개념을 분석하거나 논리를 정리하는 학문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철학은 개념을 ‘창조’하는 행위라고 보았으며, 이 점에서 예술, 과학과 나란히 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술은 감각의 구성, 과학은 함수의 추출을 수행하는 반면, 철학은 개념의 구성이라는 고유한 창조를 담당한다. 철학은 추상적인 이론이 아니라 삶을 변화시키는 실천적 사유여야 하며, 고정된 체계보다 유동적인 ‘사유의 기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들뢰즈의 입장이다. 그는 『철학이란 무엇인가』에서 펠릭스 가타리와 함께 철학, 예술, 과학을 사유의 세 가지 방식으로 구분하고, 철학은 개념을 발명함으로써 세계를 새롭게 열어간다고 보았다. 이때 개념은 단지 명제를 설명하는 도구가 아니라, 세계와 만나는 방식, 사건에 개입하는 도전의 방식이다. 따라서 들뢰즈에게 철학은 예술과 함께 삶의 가장 근본적인 실천이며, 새로운 흐름, 차이, 가능성을 창출하는 사유의 운동이다. 이는 철학이 고립된 학문이 아니라, 세계 속에서 끊임없이 실험되고 갱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