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야스퍼스는 죽음, 고통, 실패, 죄책감과 같은 피할 수 없는 극한 상황을 ‘한계상황’이라 명명하며, 인간 존재의 본질이 바로 그 안에서 드러난다고 보았다. 이 글은 그 개념을 중심으로, 야스퍼스 실존철학의 핵심을 탐색하고 오늘날의 삶에 어떤 사유를 던지는지 고찰한다.
일상의 틀을 붕괴시키는 한계상황의 의미
야스퍼스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인간은 매일같이 선택하고 행동하며 삶을 살아가지만, 어느 순간 절망과 충격을 경험하며 그 모든 일상의 질서가 무너지는 순간을 마주한다. 그는 이와 같은 상황을 ‘한계상황’이라 부른다. 이는 단지 일시적인 위기가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구나 피할 수 없는 근원적인 조건이다. 죽음, 고통, 투쟁, 죄책감 등은 인간이 아무리 회피하려 해도 반드시 맞닥뜨려야 하는 실존적 국면이다. 이러한 한계상황은 인간의 이성이나 논리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며, 오직 그 안에서 자신의 무력함과 유한성을 직면할 때 진정한 존재로 나아가는 계기가 된다고 야스퍼스는 말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한계상황을 통해 자신의 실존에 눈뜨게 되며, 이는 단순한 반성이나 정보 습득이 아니라, 근원적인 변화와 자각의 과정이다.
실존은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 형성된다
야스퍼스 철학에서 ‘실존’은 단순한 자아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투쟁하는 존재 방식이다. 실존은 단순히 ‘있는 그대로의 나’가 아니라, 한계상황을 통해 ‘되어야 할 나’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 있다. 그는 인간이 어떤 상황에서도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으며, 그것은 외부의 조건이 아니라 자신의 ‘결단’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인간은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 스스로를 형성하고, 존재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이 결단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실존적인 결단, 즉 자신의 존재 전체를 건 깊은 책임이 수반된 선택이어야 한다. 한계상황 앞에서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 이전에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며, 이때 진정한 실존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야스퍼스는 이러한 실존적 결단이야말로 인간이 진정한 주체로 살아갈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초월과의 대화, 그리고 철학의 존재 이유
야스퍼스는 인간이 실존적 결단을 내릴 수 있는 근거로 ‘초월자’의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이를 신이나 절대자, 진리와 같은 고정된 개념으로 규정하지 않고, 인간이 끊임없이 도달하려 하지만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초월적 가능성’으로 이해한다. 이 초월과의 끊임없는 대화가 바로 철학의 핵심이라고 그는 본다. 철학은 정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유지하게 하며 존재를 깊이 사유하게 만든다. 야스퍼스는 철학을 ‘철학하는 삶’ 그 자체로 이해했고, 한계상황에서 마주하는 자기 자신의 존재, 그리고 넘어서고자 하는 초월과의 긴장 속에서 철학은 지속적으로 탄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철학이란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이며, 인간의 자유와 실존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행위라고 보았다. 오늘날 불확실성과 위기의 시대 속에서 야스퍼스의 철학은 우리가 마주한 한계상황을 단순한 두려움이 아닌, 존재의 본질과 마주하는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사유의 틀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