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학자 리차드 로티는 객관적 진리의 개념을 비판하고, 진리를 인간의 언어와 공동체 내 대화의 산물로 바라보는 반대표적 실용주의를 제안했다. 그는 전통적 형이상학을 해체하고, 철학의 역할을 진리 추구에서 연대 형성으로 전환하고자 했다. 이 글은 로티의 핵심 사상과 현대 사회에 미치는 함의를 중심으로 그의 철학을 분석한다.
철학의 위기를 대화의 전환으로 풀다
리차드 로티는 현대 철학이 마주한 근본적 문제, 즉 진리의 절대성과 객관성을 둘러싼 논쟁을 전복적으로 재구성한 사상가다. 그는 플라톤적 이상, 데카르트적 근대 이성주의, 칸트식 도덕 보편주의 등 서구 철학의 기초를 구성해온 전통적 진리관을 통째로 해체한다. 로티에 따르면, 진리는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진리는 사물 자체의 반영이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개념 체계 속에서 구성되는 의미의 조합이다. 그는 철학이 더 이상 과학처럼 객관적 설명을 목표로 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문학이나 정치와 같은 인간적 활동과 연계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생각은 철학의 역할 자체를 진리 추구가 아닌, 사회적 실천과 공동체적 연대 형성의 도구로 전환시키려는 시도다. 그는 철학이 삶에 가까워져야 하며, 실용적이고 해방적인 언어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반표상주의, 진리를 만드는 언어의 힘
로티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짚어야 할 개념이 ‘반표상주의’다. 그는 언어가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한다는 생각을 철저히 거부한다. 언어는 세계를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현실에 맞춰 세계를 ‘해석’하는 도구일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진리는 언어와 담론의 역사적 산물이며, 사회적 합의에 따라 바뀌는 유동적인 개념이다. 그는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특정한 철학적 언어가 특권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본다. 과학적 언어, 종교적 언어, 문학적 언어 모두가 동등한 담론의 장에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은 자신만의 유용성을 지닌다. 이는 곧 진리에 대한 독점이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며, 우리가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은 늘 열려 있고, 다시 쓰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티는 이런 관점에서 철학자가 가져야 할 태도는 '겸손'과 '유연성', 그리고 '상상력'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철학이 더 이상 진리를 수호하는 성벽이 아니라, 다양한 삶의 가능성을 담는 개방된 대화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연대와 자유, 철학의 새로운 목적지
리차드 로티는 궁극적으로 철학의 과제를 진리 탐구에서 연대 구축으로 옮긴다. 그는 철학자가 해야 할 일은 세계의 본질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과 함께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전통적인 철학의 위엄을 내려놓고, 실질적 삶의 문제에 개입하겠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로티는 자유주의적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이를 단일한 보편 윤리로 강요하지 않고, 다양한 공동체가 각자의 방식으로 자유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그는 우리가 ‘더 나은 사회’를 꿈꿀 수 있는 것은, 현재의 언어를 끊임없이 재구성하고, 낯선 사람들과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로티의 철학은 결국 '진리가 무엇인가'보다는 '우리가 어떻게 더 잘 살아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며, 철학이 이론에서 실천으로, 설명에서 연대로 이동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철학이 다시금 인간의 삶과 접속하는 방식이며, 현재에도 유효한 철학적 실천의 한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