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진리는 말해질 수 있는가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한계와 철학의 침묵

by simplelifehub 2025. 8. 21.

언어의 구조가 사고의 경계를 결정한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사에서 두 번의 커다란 전환을 이끈 인물이다. 그는 초기 저작인 『논리철학 논고』에서 언어는 세계의 그림이며, 우리가 세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 그림의 구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때 언어는 현실의 사실을 묘사하는 도구로 간주되며, 그 도구가 다룰 수 없는 대상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이를 통해 그는 철학이 마땅히 도달해야 할 것은 언어의 명확한 사용과 한계의 구분이라고 본다. 그는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선 침묵해야 한다(Wovon man nicht sprechen kann, darüber muss man schweigen)”라는 문장을 통해 언어와 진리의 관계를 단호하게 정리한다. 즉, 윤리, 종교, 형이상학과 같은 분야는 언어가 그림으로 그릴 수 없는 대상이기에, 이성적 사유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철학은 이러한 영역에 발을 들여선 안 된다는 것이다. 그의 이론은 언뜻 금욕적인 듯하지만, 오히려 철학에 대한 존중과 겸손을 담고 있다. 우리가 언어로 설명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려는 노력은 철학을 일종의 논리적 치료 행위로 바꾸며, 불분명한 사유에서 벗어나게 한다.

일상 언어 속에서 드러나는 철학의 새로운 길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초기의 그림 이론에서 벗어나, 언어의 실제 사용 방식에 주목한다. 『철학 탐구』에서 그는 언어는 고정된 의미 체계가 아니라, 특정한 맥락과 사용 속에서 그 의미가 형성된다고 본다. 그는 이를 ‘언어게임(language game)’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언어는 하나의 닫힌 체계가 아니라, 사회적 행위와 얽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천이자 행위다. 이때 의미는 사전에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됨으로써 생긴다. 이러한 관점은 전통적인 철학적 문제들이 사실은 언어의 오용이나 혼동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 철학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사용을 점검하고 오해를 제거하는 작업이어야 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이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작동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로써 철학은 더 이상 높은 진리를 주장하는 학문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과 개념들을 통해 현실을 더욱 명료하게 보는 눈을 길러주는 실천이 된다. 침묵이 아니라 ‘살아 있는 언어의 흐름’ 속에서 철학은 작동하게 된다.

철학이 침묵을 배울 때 열리는 진리의 공간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일견 모순처럼 보인다. 초기에는 철저한 논리와 침묵의 태도를 강조하고, 후기에는 언어 사용의 다양성과 유연함을 옹호한다. 그러나 이 두 관점은 서로 대립된다기보다는, 철학이 언어의 가능성과 한계를 모두 수용해야 한다는 통합적 사유를 보여준다. 그는 철학이 언어를 통해 세계를 명료하게 파악하려 노력하되, 동시에 언어가 도달할 수 없는 영역 앞에서는 겸허해야 한다고 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언어로 설명할 수 없는 것, 이를테면 삶의 의미, 윤리적 가르침, 신적인 영역에 대해 쉽게 말하려 들기보다, 조심스럽게 그 앞에 멈춰 설 수 있어야 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이란 무엇을 아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말할 수 있으며, 무엇에 대해선 침묵해야 하는지를 아는 지혜라고 보았다. 그의 철학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요구받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으며, 그 속에서 철학은 말의 책임과 침묵의 가치를 동시에 자각하게 만든다. 진리는 말해질 수 있는가? 비트겐슈타인의 대답은 단순한 긍정도 부정도 아니다. 그것은 ‘그 말이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달려 있으며, 말의 그늘 속에서 드러나는 침묵이야말로 가장 깊은 철학적 물음의 형식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