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는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마르틴 부버는 인간 존재의 본질을 개인 내부가 아닌 ‘관계’ 속에서 찾았다. 그는 『나와 너』에서 인간이 세상을 대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 근본적인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하나는 '나-그것(I-It)'의 관계로, 대상화된 타자와의 거리감 있는 관계이며, 다른 하나는 '나-너(I-Thou)'의 관계로, 진정한 만남과 상호성을 전제로 한다. 전자는 도구적이며 세계를 조작하거나 이해하려는 태도이며, 후자는 타자를 독립적 존재로 인정하고 전 존재로 맞서는 관계다. 부버는 인간이 단지 '나-그것'의 태도에 머문다면 기계적이고 단절된 삶을 살아가게 되며, 오직 '나-너'의 만남을 통해서만 인간다움과 실존의 깊이를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나-너’의 관계는 순간적이지만 영원하다
부버에게 ‘나-너’ 관계는 지속적인 상태라기보다 삶 속에서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만남이다. 그러나 그 순간은 시간의 연속을 뛰어넘는 깊이와 진실을 가진다. 우리는 누군가를 완전히 바라보고, 존재 전체로 응답할 때 그 사람은 더 이상 ‘그것’이 아닌 ‘너’가 된다. 이때 세계는 도구적 대상이 아니라, 의미와 생명의 공간으로 재현된다. 중요한 점은 이 만남이 반드시 말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부버는 침묵 속의 응시, 함께하는 침묵, 무심코 건넨 손길 하나에도 ‘나-너’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만남은 인간에게 영적인 충만함을 선사하며, 인간 존재가 외로움과 단절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타자와의 만남이 곧 신과의 만남이다
부버의 철학은 단순한 인간관계 이론을 넘어서 신학적 함의를 내포한다. 그는 ‘나-너’의 궁극적인 너는 곧 신이라고 보았다. 다시 말해,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 속에서 우리는 신적인 차원과 접촉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영적 삶은 교회나 성서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 만남 하나하나에 내재해 있다. 누군가를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바라보고, 판단이나 계산 없이 그 자체로 받아들일 때 우리는 존재의 근원과 연결된다. 이처럼 부버는 인간의 윤리적·영적 삶이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았으며, 현대 사회의 소외와 단절 문제 역시 이러한 철학을 통해 성찰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결국 그는 묻는다. 우리는 과연 지금 누구를 ‘너’로 대하고 있으며, 어떤 존재와 진정으로 마주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