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형이상학은 차이를 억압해왔다
들뢰즈는 서양 철학이 오랫동안 '동일성'을 기준으로 사유해 왔다고 주장한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부터 헤겔의 변증법에 이르기까지, 철학은 '같음'을 중심에 두고, 차이는 이를 설명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다뤄져 왔다. 이로 인해 '다름'은 언제나 '기준'으로부터의 결핍이나 변형으로 간주되어왔다. 하지만 들뢰즈는 이러한 접근이 차이의 고유한 힘과 창조성을 억압한다고 본다. 그는 철학이 더 이상 본질이나 동일한 것의 재현을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고 분화되는 차이 자체를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차이는 단순한 구별이 아니라, 새로운 존재를 낳는 창조적 힘이며, 이를 통해 존재는 끊임없이 새로워진다.
반복은 동일성의 복제가 아니라 차이의 생성이다
들뢰즈에게 ‘반복’은 단순한 되풀이가 아니다. 그는 반복 속에서도 항상 차이가 발생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같은 멜로디를 여러 번 들어도 매번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반복이 시간과 맥락 속에서 새로운 감각과 경험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반복은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이며, 오히려 차이를 강화하고 확대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들뢰즈는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의 삶도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매번 새로운 감정과 의미가 솟아나는 공간으로 본다. 이는 인간 존재가 정체된 고정물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되는 흐름임을 시사한다. 반복 속 차이를 인식하고 포착하는 감수성은 들뢰즈 철학에서 중요한 실존적 태도다.
차이의 사유는 예술과 존재의 본질을 새롭게 구성한다
들뢰즈는 차이의 철학을 예술과 연결시키며, 예술을 기존 질서에서 벗어난 새로운 감각과 형태의 창조로 본다. 그는 특히 프란시스 베이컨의 그림이나 질베르 시몽동의 존재론, 푸코와의 대화 속에서 예술이 어떻게 차이를 드러내고 새로운 감각을 촉발시키는지를 강조했다. 예술은 반복을 통해 동일한 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낯선 조합과 충돌을 통해 감각을 확장하고 현실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행위다. 이는 철학의 역할이 단지 개념을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실 너머의 가능성을 여는 창조적 사유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들뢰즈에게 철학은 예술과 마찬가지로 ‘개념의 창조’이며, 차이를 감각하고 생성하는 능력은 존재 그 자체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이 된다. 이러한 사유는 개인의 정체성, 사회의 구조, 세계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급진적 가능성을 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