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는 동일성이 아니라 차이로부터 출발한다
들뢰즈는 전통 형이상학이 존재를 항상 동일성, 유사성, 정체성의 개념을 통해 파악해 왔다고 비판한다. 플라톤 이후의 철학은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이데아'와의 유사성을 따졌고, 헤겔은 동일성을 통해 대상을 통합하려 했다. 그러나 들뢰즈는 존재의 근거를 ‘차이’ 그 자체로 본다. 즉 존재는 어떤 원형이나 기준과의 유사성 속에서 정당화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고유한 차이로 성립된다는 것이다. 그는 차이를 단지 부정의 결과나 변주의 산물이 아니라, 스스로 생성적이고 생산적인 힘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은 존재에 대한 이해를 획일화된 질서로부터 해방시키고, 사유가 항상 낯선 것을 받아들이며 진화해야 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반복은 단순한 재현이 아닌 창조의 방식이다
『차이와 반복』에서 들뢰즈는 반복이 단지 동일한 것의 순환이 아니라, 오히려 매 순간 새로움을 창조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일상에서 경험되는 반복이 항상 동일한 구조를 따르지 않으며, 맥락, 위치, 시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생성한다고 본다. 예컨대 같은 말을 반복해도 그것이 놓인 상황에 따라 정반대의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반복은 차이를 드러내는 수단이며, 새로운 의미와 존재 방식을 생성하는 리듬이 된다. 이때 반복은 단조로운 순환이 아니라, 차이를 매번 드러내며 역동적인 사유의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들뢰즈는 이를 통해 철학이 정태적인 구조물이 아닌,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형되는 유기적 네트워크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철학은 개념을 창조하는 예술이다
들뢰즈는 철학을 단지 개념을 분석하거나 정리하는 작업이 아니라,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는 활동이라고 본다. 그는 철학을 문학, 회화, 음악처럼 ‘창조적 행위’로 간주하며, 철학자는 개념을 통해 새로운 사유의 장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니체, 베르그송, 스피노자 같은 사상가들을 재해석하면서, 그는 철학이 삶과 분리된 이론이 아니라 존재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사건이라는 관점을 견지한다. 이는 들뢰즈 철학의 핵심인 ‘되기(becoming)’와도 연결되며, 사유하는 존재는 언제나 정체성에 안주하지 않고,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끊임없이 변형시키는 존재라는 의미를 담는다.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 철학은 고정된 의미에 안주하지 않고, 사유의 불확정성과 생성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현대 철학에 창조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한 중요한 작업으로 평가받는다.